이세계 페스티벌 2025 버츄얼과 현실의 만남, 한국 최대 메타버스 음악 축제: 소개, 일정 및 장소, 라인업, 티켓정보, 굿즈, 교통편과 숙소 총정리!
목차
- 이세계 페스티벌 소개
- 이세계 페스티벌 2025 일정 및 장소
- 화려한 라인업
- 티켓 가격 및 좌석 구분
- 티켓팅 정보
- 특별 굿즈 및 한정판 상품
- 주목할 만한 특징과 반응
- 총평 및 기대 포인트
이세계 페스티벌 소개
이세계 페스티벌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최된 오프라인 메타버스 페스티벌로, 버츄얼 아티스트와 현실의 K-POP 아티스트가 한 무대에서 공연하는 독특한 콘셉트의 음악 축제입니다. 2023년 9월 23일 인천광역시 송도 달빛축제공원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버츄얼 아이돌 그룹 '이세계아이돌'의 오프라인 콘서트로 시작되었습니다.
2025년에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버츄얼 연계 오프라인 뮤직 페스티벌로 확장되어 더욱 화려한 라인업과 규모로 팬들을 맞이할 예정입니다. 이번 페스티벌은 단순한 콘서트를 넘어 현실과 가상 세계의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세계 페스티벌 2025 일정 및 장소
일정
- 날짜: 2025년 5월 15일(목) ~ 5월 17일(토)
- 시간: 오후 1시 ~ 오후 10시 (요일별 변동 가능)
- 러닝타임: 약 480분 (8시간)
장소
- 장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 스카이돔
- 주최/주관: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슈퍼아이
관람 정보
- 관람등급: 전체 관람가
- 예매 제한: 1인당 최대 2매까지 예매 가능 (요일별 매수 제한 있음)
화려한 라인업
이세계 페스티벌 2025는 버츄얼 아티스트와 K-POP 아티스트가 함께하는 화려한 라인업을 자랑합니다. 각 일자별 출연 아티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일차 (5월 15일 목요일)
- 10CM
- 더보이즈
- 츄
- FIFTY FIFTY
2일차 (5월 16일 금요일)
- 태양
- FLOW
- 국카스텐
- 히메히나
- youra
3일차 (5월 17일 토요일)
- 이세계아이돌
- 선미
- 엔플라잉
- tripleS
- BOYNEXTDOOR
- 윤마치
또한 유명 세션 기타리스트이자 밴드마스터 정재필이 이세계아이돌 무대에 밴드로 참여한다는 소식도 발표되었습니다. 이는 버츄얼 아티스트의 공연에 라이브 밴드가 함께하는 새로운 시도로,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티켓 가격 및 좌석 구분
이세계 페스티벌 2025의 티켓은 좌석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가격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일권 기준 티켓 가격
- VIP 테이블석: 250,000원
- 그라운드 VIP: 250,000원
- 그라운드 SR: 220,000원
- R석 (1층): 200,000원
- R석 (2층): 200,000원
- R석 (휠체어석): 150,000원
- S석 (3층): 140,000원
- A석 (4층): 120,000원
특별 판매 티켓
- S석 (3층 KREAM): 189,900원 - KREAM에서 이세계 페스티벌 특별 MD와 함께 구매 가능
티켓 가격에 대해서는 "너무 비싸다"는 의견과 "화려한 라인업을 고려하면 비쌀 만하다"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특히 VIP석이 25만원에 달하는 점에 대해 논란이 있으나, 여러 아티스트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페스티벌의 특성을 고려하면 합리적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티켓팅 정보
예매 일정
- 티켓링크 1차 예매: 2025년 4월 10일(수) 오후 8시부터
- KREAM 예매: 2025년 4월 14일(월)부터
예매 방법
- 티켓링크 사이트에서 해당 공연 페이지에 접속
- 원하는 날짜와 좌석을 선택하고 예매 진행
- 1인당 2매까지 예매 가능하며, 요일별로 매수 제한이 있음
주의사항
- 티켓 오픈 시간에는 접속자가 많을 수 있으므로 미리 로그인하여 대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 예매 전 원하는 좌석과 가격대를 미리 확인하고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매진될 가능성이 높은 인기 공연이므로 신속한 예매가 필요합니다.
주제곡
이세계 페스티벌 2025의 공식 테마송은 이세계아이돌(ISEGYE IDOL)의 "SYZYGY"입니다. 이 곡은 왁타버스 WAKTAVERSE 채널을 통해 공개되었습니다.
특별 굿즈 및 한정판 상품
이세계 페스티벌 2025에서는 다양한 공식 굿즈와 한정판 상품이 판매될 예정입니다:
페스티벌 굿즈
- 페스티벌 현장을 방문한 관객들을 위한 특별 굿즈
- 온라인 굿즈 구매 방안을 굿즈 파트너사와 협의 중
- 한정판 아티스트 관련 상품
특별 협업 상품
- 코오롱스포츠와의 특별 컬래버레이션 상품
- 이세계 페스티벌 2025를 기념한 Special Edition 상품
현장 부스
- 다양한 굿즈 부스와 포토존 운영
- 아티스트 캐릭터 조형물과 함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기회 제공
- 한정 수량으로 판매되는 특별 상품
페스티벌 굿즈는 현장 판매를 기본으로 하지만, 일부 상품은 KREAM과 같은 플랫폼을 통해 티켓과 함께 패키지로 판매될 예정입니다.
주목할 만한 특징과 반응
버츄얼과 현실의 만남
이세계 페스티벌 2025는 버츄얼 아티스트와 K-POP 아티스트가 한 무대에서 공연하는 독특한 콘셉트로, 메타버스와 현실 세계의 융합을 보여주는 선구적인 페스티벌입니다. 이러한 시도는 K-POP과 메타버스 문화가 글로벌하게 성장하는 추세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팬들의 반응
특히 이세계아이돌 멤버들도 페스티벌 소식에 큰 반응을 보였습니다. 멤버 릴파는 고척 스카이돔에서 공연한다는 소식이 나오자 감격스러운 반응을 보였다고 합니다. 팬들 사이에서도 이 축제는 큰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 티켓팅 전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대규모 공연으로의 도약
2023년 첫 오프라인 페스티벌 이후 2년 만에 고척 스카이돔이라는 대형 공연장에서 개최되는 이번 페스티벌은 버츄얼 아티스트의 영향력이 크게 성장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교통 안내
대중교통 이용 안내
- 지하철:
- 구일역 (1호선): 2번 출구로 나와 도보 5분 거리
- 구로역 (1호선): 1번 출구로 나와 도보 15분 거리
- 버스:
- 하차 정류장: '고척스카이돔' 정류장에서 하차
- 버스 노선: 5712번, 5626번 등 여러 노선 이용 가능
막차 시간 안내
- 구일역:
- 평일: 마지막 열차는 자정 12시 30분 출발
- 주말 및 공휴일: 마지막 열차는 자정 12시 10분 출발
- 구로역:
- 평일: 마지막 열차는 자정 12시 20분 출발
- 주말 및 공휴일: 마지막 열차는 자정 12시 00시 출발
주차 정보
- 기본 요금: 최초 30분까지 1,000원, 이후 10분당 500원 추가
- 일일 최대 요금: 약 20,000원
- 주차 공간: 지상 1층과 지하 1~2층에 총 500여 대의 차량 수용 가능
숙박 정보
행사장 주변 추천 숙박 시설:
- 그랜드하얏트 서울
- 포포인츠 바이 쉐라톤 서울
- 라마다서울신도림호텔
- 호텔 아트리움
- 서울가든호텔
-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타임스퀘어
- 신라스테이 구로
공식 채널 및 정보
이세계 페스티벌의 공식 소식은 인스타그램 @isegye_festival 및 유튜브 채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라인업 발표 및 티켓 정보 업데이트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세계 페스티벌 2025는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행사로, 메타버스 기술과 K-POP의 결합을 통해 글로벌 팬들에게 독특한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버츄얼 아티스트와 현실 아티스트의 협연은 음악 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시도가 될 것입니다.
출처: 경향신문 출처: 동아일보 출처: Trip.com
총평 및 기대 포인트
이세계 페스티벌 2025는 한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버츄얼 연계 오프라인 뮤직 페스티벌로,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K-POP 아티스트와 버츄얼 아티스트의 협업은 국내외 팬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것이며, 특히 고척 스카이돔이라는 대형 공연장에서 펼쳐지는 화려한 무대는 많은 이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으로 남을 것입니다.
티켓 가격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여러 아티스트를 한번에 만날 수 있는 기회와 특별한 공연 콘셉트를 고려하면 충분히 가치 있는 경험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3일차에 펼쳐질 이세계아이돌의 공연은 정재필의 밴드 세션과 함께 더욱 풍성한 사운드를 선보일 예정이라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이세계 페스티벌 2025는 단순한 음악 페스티벌을 넘어, 한국의 메타버스 문화와 K-POP이 만나는 혁신적인 엔터테인먼트 이벤트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이 특별한 경험을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세계 페스티벌 | 국내 최대 규모의 버추얼 오프라인 뮤직 페스티벌
관련 정보: